몸이 아플 때는 무조건 큰 병원에 가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같은 증상이라도 병원 규모와 방문 시기에 따라 진료비가 많게는 8배까지도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병원비를 건강하게 절약하는 방법, 알려드리겠습니다.
가벼운 질환은 동네병원이 오히려 좋아
병원은 그 규모에 따라 1차부터 3차까지 분류됩니다.
1차병원 : 외래 진료만 하거나, 단기 입원 환자만 받는 병상이 30개 미만인 동네 병원이나 의원
2차 병원 : 진료과목이 4개 이상이며 전문과목 2개 이상인 30~500병 상의 종합병원
3차 병원 : 모든 진료 과목에 전문의가 있는 500 병상 이상의 대학병원
중요한 점은 이 구분에 따라 진료비에서 환자가 내는 본인부담금의 비율이 달라진다는 점입니다.
1차 병원은 30%, 2차 병원은 그보다 더 높아지고, 3차 병원은 많게는 60%까지도 오르게 됩니다.
예를 들어 단순한 감기에 걸렸을 경우, 1차 병원에서는 평균 3~4000원선의 진료비가 나오게 되는 반면, 3차 병원에 가면 24,000원~30,000원 정도로 대략 7~8배가량 비용이 높아지게 됩니다.
건강보험 혜택 받으려면 진료의뢰서 꼭 챙기기
감기같은 가벼운 질환이야 동네 병원을 간다고 하지만, 고혈압, 당뇨과 같은 질환이 생긴 경우 큰 병원에 가야겠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중증 질환도 1,2차 병원부터 가는 게 좋습니다.
1,2차 병원에서 먼저 진료 의뢰서를 받고, 3차 병원으로 가야만 본인의 건강보험 혜택을 모두 받을 수 있습니다.
갔던 병원에 또 가고 진찰료 30% 절약하는 꿀팁
처음 방문하는 병원에서는 초진 진찰료가, 재방문하는 병원에서는 재진 진찰료가 적용이 됩니다. 재진 진찰료는 초진 진찰료보다 약 30% 저렴합니다. 만약 병원을 옮겨 다니면 매번 30% 비싼 금액을 내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반 질환은 30일 이내, 만성질환은 90일 이내 같은 병원에 가면 재진 진찰료가 적용된다는 점도 참고 바랍니다.
추가참고사항
급한 경우가 아니라면 되도록 정규 진료 시간에 가는 것을 추천합니다. 정규 진료 시간이 아닌 시간과 공휴일에는 기본 진찰료에 30% 추가비용이 붙기 때문입니다. 밤 10시부터 다음날 오전 7시까지는 심야 진료 시간입니다. 이 시간에는 기본 진찰료에 50%부터 많게는 100%의 추가비용을 내야 합니다.
결론
정규 진료시간은 평일오전 9시부터 오후 6시, 토요일 오전9시부터 오후 1시입니다. 긴박한 경우가 아니라면 정규 진료시간에 맞추어 가고, 1차 병원부터, 진료의뢰서까지 꼼꼼히 챙겨 똑똑한 병원이용으로 진료비 절약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텅장방지정거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중위소득 역대급 상승폭 올해는 나도 복지혜택 대상자!! (0) | 2025.01.14 |
---|---|
붕세권 대란 겨울 인기 먹거리 붕어빵 장사 창업 사업자등록 해야할까 (2) | 2025.01.02 |
나무식기 위험성 실리콘식기 장점 안전하게 사용하기 (1) | 2024.10.31 |
6년살면 내집마련 분양전환형 든든전세주택 신청시 유의사항 (1) | 2024.10.31 |
대상포진 예방접종 무료로 받기 (0) | 2024.10.29 |